✅추천하기

간략한 한글의 역사와 정보

어느늘상행복한바보 2021. 10. 19. 21:13

미리캔버스로 제작

✅ 유네스코에서는 해마다 세계에서 문맹 퇴치에 공이 큰 사람들에 '세종대왕 문맹 퇴치상'을 주고 있다.

1989년부터 매년 9월 8일 세계 문해의 날에 시상하며 '문해상'이라고도 함.

영어로는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

 

✅ 한글은 인류가 사용하는 문자 중 창제자와 창제 연도가 명확히 밝혀진 몇 안 되는 문자이다.

세종대왕, 1443년

 

✅ 한글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.

 

✅ 한글은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가진 후 세상에 알렸다.

1446년에 반포

 

✅ 1997년 10월, 한글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.

관련 링크

 

✅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10년 전 한글을 부족어 표기법으로 채택했다.

관련 링크

 

✅ 한글은 한문의 영향으로 처음엔 띄어쓰기가 없었다.

이후 영어의 영향으로 자연히 띄어쓰기를 하게 되었고, 1933년 조선어학회가 만든 '한글 맞춤법 통일안'의 띄어쓰기 규범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음.

 

✅ 한글은 표음문자인 동시에 표의문자 역할이 가능하다.

관련 링크

✅ 한글은 천지인을 결합해 만든 과학적이고 철학적이 언어다.

 

✅ 현대의 한글은 기본자음 14자와 기본모음 10자로 구성되어 있다.

 

✅ 한글이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기 시작한 것은 반포 450년 후인 갑오경장(갑오개혁) 때다.

 

✅ 한글의 태초 이름인 '훈민정음'은 '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'라는 뜻이다.

 

✅ 한글은 일제강점기 민족정신을 일깨울 수 있는 통로였다.

 

✅ 1926년 (음력) 9월 29일 '가갸날'이라 정하며 최초로 한글을 기념하기 시작하였다.

 2년 후인 1928년 기념일부터 '한글날'로 변경.

 

✅ 1990년 공휴일이 많아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경제단체의 요구로 1991년~2012년 동안 법정공휴일 제외(폐지) 되었다.

관련 링크

 

✅ 훈민정음(한글) = 세종대왕 / 훈민정음해례본(훈민정음 해설서) = 집현전 학자

 

반응형